외국희곡

니코스 카잔차키스 '희극: 단막비극'

clint 2022. 8. 11. 08:44

 

 

이 작품의 주제는 작가노트에 잘 설명되어 있다. 이 희극은 사람이 죽는 순간 영혼이 삶의 정점에 올라 지난 삶을 정리할 때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극이다. 이때 근본적인 질문 하나가 필사적으로 던져진다. 죽음 뒤에 영생이 있는가, 아니면 영혼은 영영 소멸하고 마는가. 이것은 물론 죽음의 순간에만 던져질 수 있는 물음은 아니다. 살아 있을 때는 잊히거나 잠재워져 있을 뿐이다. 이 작품의 제목은 희극과 비극이라는 말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다. 이 극이 희극인 이유는 오지 않을 존재를 마냥 기다리는 등장인물들의 상황이 희극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독실한 믿음의 처지에서 보면 이 상황은 비극적일 수밖에 없다. 카잔차키스는 이 극을 통해 전통적 기독교의 신앙에 정면으로 도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도전과 거부의 형식에 있어서 작가는 매우 도발적이다. 그러나 카잔차키스가 여기에서 신의 관념 자체를 부정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신은 사람들이 기대하는 방식으로 존재하거나 사람의 삶에 관여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을 뿐이다. 또한 카잔차키스가 구원의 가능성을 부인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다만 구원이라는 것에 대해 다른 생각을 하고 있을 뿐이다. 지신의 여러 소설과 글에서 암시하고 있듯이 그의 구원은 전통적인 신의 관념이 무너진 세계에서 의미 있는 삶을 사는 방법, 또는 자유로운 삶을 사는 방법과 관계가 있다

 

 

이 극은 사르트르의 출구 없음’(1944). 그리고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1952)와 비교할 만하다. 이 두 작품은 실존주의 철학을 가장 잘 구현하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는 희곡들이다. 사르트르의 출구 없음과 카잔차키스의 극은 모두 출구 없는 응접실을 배경으로 죽은 자들이 대회를 나누는 상황을 내용으로 하고 있는 점에서 비슷하다. 또한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는 카잔차키스의 극처럼 기다림이라는 상황을 사용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세 작가가 다루고 있는 것은 모두 실존주의적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사르트르와 베케트가 카잔차키스의 이 작품을 읽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왜냐하면 1909년에 그리스어로 출판되어 외국어로 번역된 적이 없는 카잔차키스의 이 극은 그가 세상을 떠난 뒤인 1958년에야 비로소 세상에 널리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것은 후대의 두 작가가 카잔차키스의 작품을 몰랐던 상태에서 비슷한 내용을 다루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일이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실존주의가 유럽의 중요한 철학으로 등장하기 훨씬 이전에 카잔차키스와 같은 주제의 문제를 이미 심각하게 다룰 수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사르트르의 출구 없음은 세 명의 등장인물이 죽음 직후에 어느 출구 없는 응접실에 모여 생전의 삶과 현재의 상황에 관해 끝없는 이야기를 나누는 내용을 다룬 단막극이다. 그 응접실은 실은 지옥이다. 세 사람은 그곳에서 대화를 나누다가 지옥은 타자임을 깨닫는다. 카잔차키스의 무대도 일종의 응접실이다. 이곳은 죽기 직전의 사람들이 죽음의 단계로 가기 전에 잠시 머무는 곳이다. 죽음을 맞이할 사람들이 이곳에 모여 영혼의 구원이 있을 것인가, 없을 것인가 하는 문제로 극심한 공포를 겪는다. 카잔차키스의 인물들은 이곳에서 그들을 영원한 죽음으로부터 구해줄 그분을 기다린다. <그분은 맥락으로 보아 분명하게 신을 가리킨다.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기다림이라는 행위를 극의 중심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카잔차키스의 극과 거의 같은 소재를 다룬다고 할 수 있다. 베케트의 인물들이 카잔차키스의 인물들처럼 죽기 직전의 상황에 처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양쪽 인물들이 맞닥뜨리고 있는 문제가 삶의 과정에 근본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는 이상 이들의 상황에 본질적인 차이는 없다. 차이가 있다면 베케트 인물들의 경우, 그들이 기다리는 고도의 정체에 대해 확신이 없다는 점이다 여기에서는 기다림의 대상이 되는 존재의 불확실성 자체가 실존적인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카잔차키스의 극에서는 기다림의 대상이 되는 존재의 정체성이 분명하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기독교의 신이다. 베케트의 불확실성과 대조되는 이러한 명료성이 극적 긴장도를 한껏 높이는 효과를 내고 있다. 신은 결국 나타나지 않고 카잔차키스 인물들의 기다림은 끝내 헛된 것이 되고 만다. 절망감은 극대화된다.

 

극작가, 언론인, 소설가, 그리스도, 부처와 레닌을 숭배하는 사람, 니체와 베르그송의 제자, 토마스만, 알베르트 슈바이처, 알베르트 카뮈에 의해 찬미받은 사람, 공산주의자와 무신론자로 비난받은 니코스 카잔차키스(1883-1957)는 그가 죽은 지 50년이 넘도록 영감과 분열의 인물로 남아있다. 우리는 카잔차키스가 어린 나이부터 전통적인 기독교 정교회의 많은 측면을 거부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기독교 종말론과 소테리오리학에 대한 믿음의 상실은 1909년에 쓰여진 희극에서 비극적으로 묘사되고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 연극은 그의 후기 경력의 많은 부분을 장식하기 위한 도전적이고 독창적인 생각의 분명한 표시이며, 많은 평론가들은 코미디의 전작인 사르트르의 휴이스 클로스와 베켓의 고도를 기다리는 43년보다 실존적 주제가 더 낫다고 신나게 지적했다. 본질적으로, 희극은 기독교 구원에 대한 비난과 니체의 '신의 죽음'에 따른 '비슬'에 대한 탐구이다. 카잔차키스의 주요 번역가 피터 비엔은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코미디에서 주된 주제는 천국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카잔차키스에게 심연이란 윤리적인 의미에서 지옥이 아니라 기독교의 영원한 행복의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을 더 이상 믿지 않게 되면 끝장이 보장되는 멸종이다."

 

 

줄거리와 설정은 단순하면서도 매력적이다. 두 명의 노인이 화려한 가구가 비치된 방에 위치해 있는데, 이것은 인간의 뇌 안에서 의식의 마지막 죽음의 고통을 나타낸다. 우리는 인간 존재의 기쁨과 고통을 의인화하는 의식의 다른 면들을 하나씩 소개한다. 작은 소녀, 금욕주의자, 간음녀, 젊은 남자, 노동자, 바보, 어머니, 그리고 늙은 여자, 자랑스러운 젊은이와 수녀. 금욕주의자들은 대부분 명백한 불안을 지배하고 봉인하지만, 구원이 자정에 도래할 것이라는 것을 현장에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확신시키려고 한다. 하지만 자정이 되면 아무도 오지 않는다. 그의 좌절 속에서 고행자들은 하나님께 비명을 지르지만 대답도 받지 않고 꾸짖지도 않는다. 마지막 촛불이 꺼지면서 참석자들은 모두 소멸되고 극은 침묵 속에서 팔짱을 끼고 '다시는 움직이지 않는다'는 캐릭터들로 막을 내린다.

결말은 분명해 보인다: 천상의 구원은 없고 기독교의 메시지는 그러므로 거짓이다. 그렇다면 이것이 무신론과 허무주의의 용어들이 카잔차키스의 후기 저작에 실릴 것을 보증하는가? 카잔차키스는 그의 '메타공산주의 신봉자' 아스키티키(Askitiki: Spiritical Practions)에서부터 노골적으로 종교적인 주제를 다룬 후기 소설에 이르기까지 여생을 ''과 투쟁하는 것이 분명하다. 1954년 바티칸이 금서목록에 올린 '그리스도 신병 모집자', '신의 가난뱅이' 그리고 '마지막 유혹'이 그것이다. 그러나 카잔차키스는 종교에 공감하는 독자들을 계속 유혹하고 도전하며 고무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대런 미들턴은 기독교 독자들의 눈에 카잔차키스의 재활을 다른 어떤 학자들보다도 시도해왔다. 미들턴이 카잔차키스의 세계관과 '과정신학'의 세계관 사이에 두는 유사점들은 신에 대한 전통적인 정적인 고전적 개념을 피하는 풍부한 논의를 계속할 수 있게 한다. 이 생각에 따르면, 신과 세계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더 구체적으로, 우리는 인간의 행동을 통해 신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 카잔차키스의 용어로 우리는 '신의 구원자'가 된다. 이것은 물론 전통적인 정교회와는 다소 거리가 먼 급진적인 움직임이지만, 우리의 원탁회의 토론이 보여주듯, 카잔차키스를 영성에 대한 새롭고 긍정적인 접근의 선두에 앉히고 그의 작품이 계속해서 진지한 관심을 받을 가치가 있다고 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