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부산일보 신춘문예 희곡 당선작
허름한 모델에 한 단지 방세를 내고 사는 것, 다방,
다방을 살고 있는 여자가 남자를 데리고 밖에 들어선다.
혼자 밥 먹는 걸 싫어하는 여자를 순수하게 같이 밥 먹을 사람이 필요해
남자를 데려온 것이지만 남자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모양이다.
안과 밖, 욕망과 현실, 내면과 외면의 괴리감을 모델이라는 공간에서 풀어낸 멋진 정한 현실 비화. 그들의 전내 나는 이야기는 절대 남의 이야기가 아니다.
심사평 - 심사위원 김남석
올해 부산일보 신춘문예 희곡 부분은 매우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작년 50여 편 수준이었던 응모작 수가 이번에는 100편을 훌쩍 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증가는 그 자체로 기쁘고 환영할 일이 아닐 수 없다. 다만 작품 수의 증가가 코로나 팬데믹 상황과 무관하지 않고, 깊어 가는 외로움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마냥 편하지 않은 기분인 것도 부인할 수는 없었다. 응모 작품이 내보이는 두드러진 특징은 ‘갇힌 공간’이었다. 희곡과 시나리오는 장르 특성상 공간적 배경을 명시해야 하지만, 이번 응모작들처럼 노골적으로 감옥, 요양원, 골방을 전면에 내세우는 경우를 흔하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작년에 비해서도 그 빈도와 강도가 증가했는데, 무엇보다 그러한 공간에 갇힌 인물들이 꿈꾸는 세계의 모습이 침울한 점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들은 외로워하고 있었고, 누군가를 그리워하고 있었다. 깊게 따지지 않아도, 우리 사회가 당면한 현실을 반영한 결과일 것이다.
당선작 역시 모텔을 혼자만의 공간으로 살아가는 사람의 이야기였다. ‘달방’으로 명명된 공간에는 혼자 살고 혼자 먹고 거의 외출하지 않은 여인이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이 여인은 한 남자를 동반했는데, 상스럽지 않고 가볍지 않은 이 동반이 우리 마음속에 산다는 것의 의미를 저릿하게 일러주고 있다. 현실의 의미와 규칙을 함부로 왜곡하지 않으면서도, 그 이면을 보려 했던 극작술은 이 작품을 수상작으로 만들었다. ‘우리 동네 마지막 만화방의 마지막 일주일’이나 ‘여름 맞선’도 수상에 육박하는 미덕을 갖추고 있었지만 ‘자정의 달방’ 에서의 여운과 울음이 더욱 강하게 남았기에 이 작품을 수상작으로 결정한다. 이 수상이 어둠 같은 방에서 더 환한 세상으로 나오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도 함께 전해 본다.
수상소감
문득 끼니를 해결하던 중, 먹을수록 공허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런 감정은 혼자 무언가를 할 때 다가오고는 합니다. 그렇게 바로 연필을 들었습니다. 육체적 포만감이 충족됨에도 불구하고 채워지지 않는 고픔에 대한 이야기를 쓰고 싶었습니다. 제게는 이 고픔이 정신적 허기이자 외로움이었습니다. 상처 받지 않으려 사람에게 겁을 먹었고, 현실이 두려워 글쓰기를 미뤘었습니다. 그런 제게 언제나 손을 건네 일으켜 준 건 늘 사람들이었고, 결국 삶은 ‘그럼에도’와 ‘같이’로 이루어져 있는 것 같습니다. 때로 문학은 우리가 돌아보지 못했던 것들을 상기시키고는 합니다. 이렇게 한 걸음씩 나아갈 수 있는 이야기를 쓰겠습니다. 하고 싶은 것들만을 하며 살아갈 수 없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다만 그중에서도 가장 고프지 않은 길을 선택하려 합니다. 여전히 많이 남은 배움에 겁먹지 않도록 손을 건네주신 부산일보사와 심사위원 김남석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글을 쓰겠다는 오기 하나만을 가지고 있던 저를 참 다정히도 키워 주신 문예창작과 전성희 교수님을 비롯해 이경교 한혜경 이병일 교수님들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언제나 제 편에서 묵묵히 믿어 주던 많은 친구들과 사랑하는 우리 엄마에게도 기쁜 인사를 전합니다. 모두에게 꼭 따뜻한 밥 한 끼 사겠습니다. 몸 가까워져도 되는 그날이 오면 우리 식사나 같이 합시다.
약력 : 1997년 인천 출생, 명지전문대 문예창작과 전공심화과정 재학 중.
'한국희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예찬 '집주인' (1) | 2022.01.03 |
---|---|
김마딘 '나의 우주에게' (0) | 2022.01.03 |
윤지영 '상선(上船)' (1) | 2022.01.02 |
한옥근 '꼴뚜기 행장기' (1) | 2022.01.02 |
최명희 '아내의 외출' (1) | 2022.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