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희곡

마이클 브릴 '가면 속의 미녀와 야수'

clint 2023. 10. 15. 06:41

 

상인이 있었다. 그에게는 딸이 있었는데 그중 막내딸이 가장 아름답고 착했다.

상인은 어느 길을 떠나는데 언니들 값비싼 선물을 사달라고 조르지만

막내는 장미 송이만을 부탁한다. 빈손으로 집으로 돌아오던

아버지는 폭풍 속에 길을 잃고 야수의 성으로 들어가게 된다.

막내딸의 부탁을 떠올린 아버지는 정원에서 장미를 꺾어 야수의 분노를 산다.

야수는 상인에게 목숨을 내놓거나 아니면 딸들 가운데 명을 자신에게 보내라고 요구한다.

아버지를 대신해 마법의 성에 미녀는 성의 안주인으로 살게 되고

점차 야수에게 호감을 느끼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버지가 걱정돼 며칠만이라도 집에 다녀오게 해달라고 부탁한다.

그러나 집에 돌아온 미녀는 언니들의 꾐에 빠져 약속한 날짜를 어기게 되고

결국 궁전으로 돌아갔을 거의 죽게 야수를 발견한다.

미녀가 야수에게 사랑한다고 말하는 순간,

야수는 왕자로 변하고 미녀를 아내로 맞이한다.

 

 

미녀와 야수 다양한 판본과 각색 작품들
미녀와 야수 원래 18세기 중반 프랑스에서 출판된 이후 서양에서는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옛이야기다. “신데렐라 더불어 가장 대표적인 프랑스의 동화로 손꼽히며 끔찍한 외모의 야수가 미녀의 사랑으로 왕자로 변하게 된다는 동물신랑(animal bridegroom)이야기 가운데 가장 유명한 작품이기도 하다. 외모 덕분에 왕자의 사랑을 얻고 행복해지는 '신데렐라' 와는 달리, 사랑을 통해 상대방을 구원하고 자신도 성장하는 적극적인 주인공미녀 수많은 작가와 예술가에게 영감을 제공해 왔고 이로 인해 다양한 장르의 작품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미녀가 알지 못하는 남자와 결혼해야 하는 상황, 모든 소원이 이뤄지는 마법의 , 미녀가 사랑을 선언하는 순간 왕자로 변신하는 야수 미녀와 야수 동물신랑 설화의 주요 메타포와 모티브를 포함하고 있다. 여러 시대와 문화권에 걸쳐 다양한 이본(異本)들이 존재하는 동물신랑 설화들은 학자들의 집중적인 연구를 받아왔으며미녀와 야수 탄생을 준비했다고 있다. 기록으로 확인된 최초의 동물신랑 이야기는 희랍 · 로마 신화의큐피드와 프쉬케. 신화에서 프쉬케는 흉측한 뱀과 결혼하게 되고 이때 뱀은 바로 마법에 걸린 큐피드다. 신랑은 밤에만 찾아와 프쉬케와 사랑을 나누며 절대 자신의 모습을 보아서는 된다고 명령한다. 그러나 프쉬케는 잠든 남편의 얼굴을 들여다보고 결국 사랑하는 남편을 잃게 된다. 수많은 시련을 겪고 나서 마침내 그녀는 남편을 되찾는다는 줄거리다. “미녀 야수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되는 다른 동물신랑 설화로는 북구의 대표적인 민담해의 동쪽, 달의 서쪽(East of the Sun and West of the Moon) 있다. 소녀가 아버지에 의해 거대한 백곰에게 팔려간다. 백곰은 매일 어두워진 다음에야 아내를 찾아온다. 그러나 그녀의 손에 느껴지는 것은 거대한 백곰이 아닌 청년의 매끄러운 피부고, “큐피드와 프쉬케 마찬 가지로 소녀는 호기심을 이기지 못해 불을 켜고 남편의 모습을 훔쳐본다. 여주인공은 이로 인해 온갖 고난을 겪게 된다. 특히, "프쉬케와 큐피드"미녀와 야수 초판(La Belle et le Bete) 발표되는 1740년경 프랑스 문인들 사이에 널리 읽히고 있었다는 점에서 직접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된다.

 


작자 미상으로 되어있는 여타 동화들과 달리, “미녀와 야수 작가가 분명히 알려져 있는 작품이다. 앞서 살펴본미녀와 야수 줄거리는 1756 발표된 보몽 부인의 작품을 토대로 하고 있다. 판본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각색이나 재창작의 원작으로 사용돼 왔기 때문에 일부에는 작품이 최초의미녀와 야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보다 16 앞서 보몽 부인과 마찬가지로 파리에서 살롱을 운영하던 빌뉘브 부인의 작품이 최초의미녀와 야수판본이라는 것이 정설이다. 궁정과 자신의 문학 살롱을 드나들던 귀부인들을 위해 쓰여진 최초의 판본은 길이에 있어 362페이지에 이르고 수많은 인물들이 등장할 뿐만 아니라 매우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미녀를 도와주는 요정들 간의 다툼이라든지 미녀와 야수의 부모에 관한 이야기, 왕자가 저주를 받게 이유 등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또한 판본에는 야수가 왕자의 모습으로 미녀의 꿈속에 나타나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꿰뚫어보고 구해달라고 부탁하는 이야기가 포함돼 있다. 물론 미녀는 그의 메시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왕자와 사랑에 빠진 다음에야 의미를 깨닫게 된다. 야수가 왕자로 변하는 것도 미녀가 사랑을 선언한 직후가 아니라 결혼 첫날밤을 보낸 다음이다. 또한 야수가 왕자로 변한 다음에도 여러 가지 사건들이 이어진다. 1756년에 발표된 보몽 부인의 판본은 현재까지 가장 널리 읽혀 지고, 있다. 빌뉘브 부인의 초판본과 비교해, 분량 면에서 17페이지 정도의 단편소설로 줄고, 야수가 왕자로 변하는 장면에서 바로 끝난다. 보몽 부인의 경우, 성인독자가 아니라 어린이를 염두에 두고 있었기 때문에 미녀의 덕목에 집중하는 교훈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다. 이야기의 마술적인 분위기는 유지하지만, 미녀가 이야기의 마지막에 보상을 받는 것처럼 근면하고 자신을 희생하는 소녀들이 마지막에 가서 행복해질 것이라는 메시지를 분명히 한다.

 

 

한편, 빌뉘브 부인 작품에 들어있는 야수가 착한 사람이라고 설득하는 요정들이나 왕자가 나타나 자신이 왕자임을 암시하는 이야기를 제거해 버림으로써 미녀가 야수에게 자발적으로 호감을 느끼도록 했다. 18세기에 발표된미녀와 야수" 판본들을 살펴보면, 하나의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처음으로미녀와 야수 발표하고 유행시킨 빌뉘브 부인을 위시한 프랑스 여성작가들의 작품과 이후 이를 개작한 작가들의 작품에 분명한 차이가 보인다. 초기에 발표된 작품일수록 야수의 캐릭터나 미녀가 야수의 성으로 가게 상황을 비판적으로 그리고 있는 반면, 나중에 쓰여 작품일수록 강도가 약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18세기 후반 유럽 각지에 퍼져 있던 옛이야기들과 민간전승들을 재정리한 그림형제에 이르면 최고조에 달하게 된다. 한편, 야수를 형상화 하는 있어 여성작가들은 집을 떠나 모르는 남자와 결혼하게 어린 소녀들의 충격을 반영해 야수를 보다 동물적으로 그리는 반면, 그림형제의 야수는 보다 인간적인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같은 태도의 차이는 해피엔딩이라는 결말에서 보다 극단적으로 나타난다. 후기에 발표된 작품일수록 미녀의 사랑 고백과 야수의 왕자 변신이 즉각적으로 이뤄지는 반면, 초기 작품일수록 첫날밤 이후, 3 등으로 멀어진다. 이는 초기 작가들이 미녀와 야수의 화해에 매우 소극적이었음을 보여준다.

 


19
세기에 접어들면 인쇄술의 발달로미녀와 야수는 서양 독자들에게 널리 보급된다. 당시의 기록을 살펴보면, 1804년과 1900 사이에 영국에서만 20 편에 이르는 이본들이 출판되었다. 찰스 램이나 앤드류 같은 유명작가들이미녀와 야수 각색한 작품을 발표할 만큼미녀와 야수 프랑스와 영국, 미국 서양인들의 의식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된다. 특히, 내용면에서 시기 작품들의 특징을 들자면, 18세기 작품을 지배하던 도덕적 훈계들이 사라진 점이다. 예를 들어, 미녀는 아버지에 대한 극진한 효심(빌뉘브 부인)이나 한번 약속은 반드시 지켜야한다는 의무(보봉 부인) 아니라 자신에게 닥친 운명을 받아들이겠다는 의지로 아버지 대신 야수의 궁전으로 가게 된다.

19
세기의 경우, 다양한 판본의 출간에도 불구하고 내용면에서는 원작으로부터 크게 벗어나는 작품은 많지 않았다. 반면, 20 세기 작품들은 작가의 의도를 부각시키기 위해 줄거리를 과감하게 변형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엄밀한 의미에서 해체 재창작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고 있다. 히드-스텁스의 1943년작 <미녀와 야수> 원작의 주요 이미지들을 차용 실존주의의 시각에서 주인공들을 바라보고 있다. 1909년에 나온 페르낭 노지에르의 2막의 판타지 급진적인 각색을 시도하는데 아버지와 그의 연인, 언니, 그들의 구혼자들, 그리고 미녀와 야수가 파트너를 바꿔가며 섹스를 벌이도록 원작의 () 부텍스트만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한편, 꼭도의 46년도 흑백영화 <미녀와 야수> 초현실주의의 관점에서 작품 안의 마법적인 모티브들을 현실적인 요소들과 혼합하고 있다. 작품은사실주의 속의 초자연, 이라는 컨셉이 두드러진다. 예컨대, 야수가 사는 마법의 장면에서, 닭들이 바닥을 쪼는 모습 일상의 단면들을 교차 편집함으로써 동화를 현실세계 안으로 들여오는데 성공하고 있다. 70년대미녀와 야수 각색한 작품을 다수 발표한 안젤라 카터의 경우, 원작이 암시하는 자연에 대한 문명우위적 입장(야수가 미녀에게 교화된다는 인상) 비판적이다. 작가는 야수의 동물적 본성이 자신의 본성을 불러일으키고 이것이 보다 편안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야수와 함께 있기를 원한다는 미녀의 말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펼친다. 82 발표된 영국의 계관시인 테드 휴즈의 미녀 야수 이와 비슷한 입장을 보여준다. 왕이 가장 애지중지하는 막내딸 미녀는 떠돌이 악사의 재주부리는 곰을 따라 궁전을 떠나지만 왕의 군대의 추격을 받아 잡히고 만다. 미녀는 치명적인 상처를 입은 야수에 대한 사랑을 선언하는데 이때 변신을 겪는 것은 야수가 아닌 미녀다.

 

디즈니의   만화영화



어린 나이에 연상의 남편과 결혼해 집을 떠나야했던 18세기 여성 작가들은 모험에 나선 왕자나 기사 대신에 아버지 품을 전혀 알지 못하는 동물남편을 만나 사랑을 통해 성장해 가는 소녀를 주인공으로 내세우는미녀와 야수 매료될 수밖에 없었다. 오늘날 여성 작가들도미녀와 야수 가지고 있는 여성주의적 시각에 끌리게 되는데 이는 현대판 미녀와 야수 작가나 각색자들이 대부분 여성이라는 점으로 확인된다. 한편, 이들 여성작가들은 왕자로 변신하기 전의 야수를 보다 인간적이고 호의적으로 그리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제시카 주연의 <킹콩(1976)>이나 버튼 감독의 <가위손(1990)>, 디즈니의 만화영화 <미녀와 야수(1991)> 그런 예에 해당한다.
사랑하는 여인을 찾아 도시의 문명 속으로 들어왔다 죽어가는 킹콩이나 자신을 경멸하는 주민들을 위해 정원을 가꿔주는 가위손은 미녀의 마음을 얻는다. 작품들은 문명으로의 복귀가 야수의 고귀함을 회복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손상을 의미한 다는 시각을 보여준다. 이는 디즈니의미녀와 야수에서도 반복되는데 미녀에 대한 여성 주의적 해석과 함께 자연 상태의 순수함을 지닌 야수와 야수의 마음을 가진 인간 가스통(Gaston) 대비시키고 있다.

 

뮤지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