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리 플로렌스 지방의 왕자인 귀도와 상인인 사이먼, 그의 아내 비안카 3 인이 나온디
사이먼의 상점에 들린 왕자인 귀도는 왕족 특유의 거만함과 귀풍스러움 그리고 탐욕을 지닌 인간이다
사이먼은 그런 귀도에게 비위를 맞추며 비싼 값에 물건을 팔고 아내까지 줄 심산이나 결국 장난처럼 시작된 칼싸움에서
사이먼은 귀도를 실력으로 죽이게 된다. 프로렌스인의 비극은 귀도의 죽음을 말하는 것이다
프로렌스는 현재 이태리 중부의 피렌체 지역이다. 단막극이다.
오스카 와일드는 1854년 10워 15일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의사였던 윌리엄 와일드 (1815~1876) 와 제인 와일드 (1821~1896) 사에에서 태어났다. 제인 와일드는 성공적인 시인으로 유명한 인물이었으며 윌리엄 와일드는 여러 민속과 고전에 관한 저술을 집필한 박식한 인물이었다. 1855년 6월 와일드가는 메리온 스퀘어 1번가로 이사하였으며 1856년 오스카 와일드의 여동생 이졸라 프란체스카 와일드가 태어났으나 10살에 세상을 떠났다. 와일드는 여동생을 생전에 애지중지하였고 그녀의 머리칼을 아름답게 장식한 봉투에 넣어 평생 애지중지했다.오스카는 9살까지 집에서 교육을 받고 에이스킬렌의 포토라 왕립학교에 1864년부터 71년까지 교육을 받았다. 그리고 1871년 더블린의 트리니티 칼리지를 장학생으로 입학하였다. 형이 윌리 와일드(1852~1899)와 함께 방을 나누며 그리스어를 공부하였으며 그리스 문화에 심취했다. 1874년에 그는 장학금을 받고 옥스퍼드의 맥덜린 칼리지로 학교를 옮겼다. 이때 그는 그의 스승이었던 매허피 교수와 그리스등을 여행했다. 이때부터 그는 동성애와 이성애 사이에서 충동했다고 한다. 1878년 라벤나를 찬미하는 시를 써내 뉴디기트 상을 수상하고 우수한 성적으로 옥스포드를 졸업하였다. 1881년 그는 첫 시집을 출간하여 문학계에 데뷔하게 된다. 비록 그의 시집은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재치있는 입담과 유머로 그의 이름을 각인시키는데 성공한다. 그뿐만 아니라 독특한 차림새를 보여주며 당대 사교계와 교류를 하며 자기 이미지를 구축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미국순회강연을 하며 미학주의를 강연하며 큰 성공을 거두게 된다. <오스카 와일드와 알프레드 더글라스 경><콘스탄스 메리 로이드와 그의 아들 시빌 와일드>이후 세살 연하의 콘스탄스 메리 로이드(1858~1898)라는 여인을 만나고 1884년 그녀와 결혼한다. 런던에 신혼집을 차린다. 두 사람 사이에서는 아들 시릴과 비비언을 두었다. (1) 1887년에는<아서 새빌 경의 범죄>를 발표하며 소설가로 데뷔한다. 그리고 1888년<행복한 왕자와 다른 이야기들>을 발표한다. 1890년에는 첫 장편소설<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을 발표한다. 그리고 1891년 희곡<살로메>를 불어로 발표한다. 이 작품은 알프레드 더글라스 경이 영역하였고 둘은 1891년초부터 만났다. 스코틀랜드 명문가 출신의 알프레드 더글라스 경(2)과 오스카 와일드이 동성애가 시작된다. 그는<이상적인 남편>과<어니스트 놀이>를 집필하면서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한다. 두 작품은 연극계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혹평과 찬사를 동시에 받았다. 허나 문제는 오스카 와일드가 알프레드 더글라스와의 관계를 공공연히 과시했다는 점에서였다.
자신을 공개적으로 비난한 더글라스의 아버지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하였으나 조사를 통해 동성애를 한것이 드러나고 오히려 남색죄로 2년동안의 중노동형을 받게 되었다. 때는 1895년의 일이었다. 그의 재산은 압류되었고 친권마저도 뺏겼다. 그의 명예는 실추되었고 감옥에서 중노동형을 받으며 굴욕을 받았다. 감옥에서 자신의 종교의 식견과 발전의 과정을 묘사한<옥중기>를 집필하였으나 생전에 나오지는 못했다.
1897년 5월 19일 풀려난후 국외로 추방당했다. 세바스찬 멜모스라는 가명을 쓰며 가난속에 비참하게 살아갔다. 그와중에서도 그의 마지막 작품<리딩 감옥의 노래>가 출간되었다. 너무 가난해서 치과 갈 돈조차도 없었던 오스카 와일드는 건강이 악화되었고 결국 1900년 11월 30일 46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외국희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괴테 '신들과 영웅들과 뷔일란트' (1) | 2016.11.15 |
---|---|
괴테 '프로메테우스' (1) | 2016.11.15 |
랜퍼드 윌슨 '토분 쌓는 사람들' (1) | 2016.11.13 |
스트린드베리 '부활절' (1) | 2016.11.13 |
에드워드 올비 '염소 혹은 실비아는 누구인가' (1) | 2016.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