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희곡

궈스싱 '바둑 인간'

clint 2020. 10. 22. 08:56

 

 

 

50년간 바둑에 자신의 인생을 바친 대국수가 예순을 맞아 인생을 돌아보며, 바둑 때문에 떠나보낸 옛 사랑에 대한 회한과 외로움으로 힘들어하다가, 한 천재적인 바둑 청년을 만나 그로 인해 다시 바둑에 대한 열정을 불태우게 되지만, 그 스스로 그 청년을 죽음으로 몰고 가게 되고 자신도 삶의 희망을 잃게 된다. 역시 엄청난 아이러니다.

이 작품은 사랑하던 여인 대신 바둑을 선택하여 평생을 바둑에 바친 바둑광 허윈칭, 바둑에 사랑하는 이를 빼앗긴 후 새 사랑을 만났지만 아들만 남기고 그마저 저 세상으로 가버려 그 아들만 의지하며 살아온 여인 쓰후이, 그리고 계속 뇌세포가 증식된다고 믿으며 고도의 지력을 요하는 일에만 흥미를 느끼는 아들 쓰옌의 이야기다. 바둑에의 집착으로 사랑을 잃고 인간관계가 깨어진 남자와, 아들까지 바둑에 빼앗길까 봐 노심초사하며 아들에 집착하는 여인, 두 사람의 집착이 생명을 건 대국으로 이어지고, 무고한 한 젊은이가 결국 생명을 포기하기에 이른다. 즐기기 위한 취미가 중독적 집착으로 바뀌어 오히려 인간의 생명을 좌우하는 부조리, 이 작품의 기본 줄거리이다.

 

 

 

쓰옌은 바둑에 천재적인 재능을 보이지만,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외부소통이 불가능한 자아도취적 편집 증상으로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다. 쓰옌의 여자 친구 웬웬은 90년대 중국 개혁개방 사회의 한 표상이다. 늘씬한 외모의 여행 가이드로, 자본과 성의 개방을 상징한다. 상당한 수임을 얻으며 자유롭게 생활하지만, 지식에 대하여는 열등감을 느끼며

주체적인 삶을 살지 못하고, 사회적 평판에 반항하는 동시에 상처 받으며 방황한다. 그러나 이들은 공통적으로 신념과 이념의 대척적 가치인 자유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젊은세대를 대표한다. 쓰옌은 자신의 개성을 억압당하고 사느니, 차라리 죽어서 자유롭기를 원한다. 죽음은 억압에 대한 가장 강력한 항거이자 약자에게는 유일한 항거의 방식이기도 하다. 웬웬은 그러한 방황을 몸의 자유로 대체한다. 마지막 대국에서 허윈칭에게 패한 후 죽음을 택한 쓰옌의 혼령은 다시 그 앞에 나타나서 복기를 요구한다. 그리고 자신이 그 바둑에서 지지 않았음을 증명한다. 작가는 바둑의 복기라는 기억의 방식으로 과거의 틀 속에서는 읽어내지 못한 새로운 가능성을 긍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이미 자신의 자유로운 선택을 위해 생명을 내놓았다.

 

 

바둑 인간에서는 주인공 허윈칭의 바둑 친구들이 등장한다. 의사인 귀머거리, 바둑판에서도 힘으로 밀어붙이는 작가 마구잡이, 막 칼 휘둘러 집어먹는 엔지니어 출신 망나니, 늘 양걸침을 당해 헤매고도 그 문제를 극복하지 못히는 생물학자 양걸침, 한 알도 놓치지 않으려 달달 떠는 사업가 쫄보,, 각각의 개성이 잘 드러난다. 평생 허윈칭의 바둑 재능을 흠모하여 그를 돌보며 함께 인생을 걸어온 이들이다. 이들로 인해 온전히 바둑에 매몰되어 외로운 바둑 인생을 살아온 대국수 허윈칭의 삶에 의미가 부여되고, 그의 예순 생일에도 생기가 부여된다. 그의 주변을 서성거리며 살아온 세상 속 바둑 인간들의 다양한 모습이 매우 인간적이고 유머러스하다. 허윈칭의 친구들이 바둑판에, 그리고 작품에 인정과 웃음을 더한다. 그들은 모두 삶과 취미를 병행하는 사람들인데 비해, 허윈칭은 삶을 버리고 바둑을 택한 자, 평범한 행복을 버리고 비범한 고독을 택한 자다. 그래서 인생의 후반에 더욱 절실한 외로움으로 아파한다.

바둑은 하늘과 땅의 이치, 음과 양의 이치, 일 년 사 계절 삼백 예순 날을 모두 담고 있어서, 삶과 죽음을 넘어 초월의 경지에 이르는 지혜의 각축장이다. 범인과 천재가 완연히 구별된다. 진정한 바둑 인간은 세속적인 감정과 욕망의 경지를 넘어선 공존과 초월의 세계에서 노닌다.

 

士行

 

 

'외국희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멍징후이 '떠돌이 개 두 마리'  (1) 2020.10.30
위룽쥔 '손님'  (1) 2020.10.29
쉬잉(徐瑛) '로비스트'  (1) 2020.10.18
몰리에르 '억지장가'  (0) 2020.10.14
몰리에르 '서민귀족'  (1) 2020.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