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희곡

강용흘 '궁정에서의 살인'

clint 2024. 6. 16. 19:41

 

 

때는 고려 공민왕 시절, 대를 이을 후사가 없어 고민이 많던 공민왕은

이런저런 대책을 세워 실행했으나 모두 실패하여 고민 끝에 후임자를

폭 넓게 수소문하고 예언자나 점술가를 통해 검증을 하여 김재상의 아들

만송을 후임으로 정한다. 그러나 점술가인 왕서군의 반대하는데,

그 이유는 만송이 19살 생일날 사망한다는 점술 때문이었다.

이 사실은 먼저 전해들은 김재상은 반역죄로 왕서군을 잡아 처형한다.

그리하여 왕서군의 외동딸인 헤라녀는 복수의 일념으로 칼을 간다.

여기에 호시탐탐 왕권에 욕심을 내는 편조대사(후에 신돈으로 드러남)

악마와 같은 역할로 정적들을 견제하고 제거한다.

만송은 공부는 많이 했으나 자유분방한  시인, 예술가스타일로

정치가 싫고, 부친의 강제적인 지시도 부당하면 따르지 않는 성격이다.

부친 김재상은 곧 차기 임금으로 내정됐다는 얘기를 아들에게 전한다.

그러자 자신은 전혀 그럴 마음이 없다고 집을 나간다.

그의 뒤통수에 대고 넌 19살 생일에 죽을 운명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부자의 연을 끊는다.

 

 

 

산천을 돌며 유랑하던 만송은 어느 산골에서 헤라녀를 만난다.

산속에서 나무꾼으로 홀로 생활하며 복수의 칼을 가는 헤라녀.

그녀는 부지런히 칼춤을 연마한다, 

둘은 만나면서부터 호감을 갖게 되고, 여기까지 쫓아온 편조를

혼내 준다. 내심 이들의 관계를 알고 과거의 일들도 아는 편조는

이들의 결혼을 방해하는데번번히 실패한다.

만송과 헤라녀는 마을 사람들의 축복속에 결혼을 한다.

그리고 전국적인 방이 내려지는데 공민왕이 후계자로 만송을 지정하여

후계선포식을 하고 왕권을 이양한다고 전해진다.

부부인 만송과 헤라녀는 그들의 관계가 원수 사이임을 알게 되고

헤라녀는 고민하고 만송은 설득하려 하나 여의치 않다.

해라녀의 칼에 만송이 죽을 운명인 것이다.

바로 왕서군의 예언과 백두산 도사의 말처럼....

드디어 후임자 선포 및 왕권 이양의 날이 된다.

이들은 어떻게 될까?

궁정에서의 살인은 일어날까?

 

출연자의 젊은 시절 모습을 볼수 있다. 저 위의 정영숙과 김홍기 그리고 박규채, 최불암씨 등

 

 

이 작품은 재미 작가 강용흘이 1935년 영문으로 쓴 4막희곡으로

이근삼 선생이 번역한 작품이다.

1974년 극단 민예에서 공연하였다. (허규 연출)

이 작품이 대단한 것은 고려 공민왕시절 공민왕이 후사가 없다는

사실 하나만으로 거의 픽션으로 4막의 작품을 썼다는 것인데

1930년대 우리의 연극 수준으로 보았을 때 엄청 수준 높은 작품으로

살인이라는 제목의 뉘앙스가 주는 추리나 심각한 대립보다는

사연이 복잡한 청춘 남녀의 사랑이야기에 편조라는 메피스토 적인

인물을 등장시켜 극적 재미를 더해가는 기법으로 시종일관 몰입하게

만드는 극작술이 뛰어나다는 점이다무대 변경을 최소화 하기 위한

내레이터 등장도 무척 효율적이다. 

 

 

강용흘

(姜龍訖, 1903년 6월 5일 ~ 1972년 12월 2일)은 한국계 미국인 작가다. 1931년에 쓴 첫 한국계 미국인 소설 초당 (The Grass Roof) 등이 유명하며 한국계 미국인 문학의 아버지라 불린다. 한국에서 유학과 기독교식 교육을 받았다. 함흥 영생중학교를 졸업하고 1921년 독립 운동을 위해 한국을 떠났다. 처음에 캐나다로 갔다가 후에 미국으로 가서 보스턴 대학교에서 수학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위 수여를 받았다. 그 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 편집자로 일하고 뉴욕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 후 행복한 숲(The Happy Grove), 동양인이 본 서양(East Goes West) 등을 썼다. 한국 문학을 영어로 번역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