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많은 종류의 사람들이 있다. 그래서 그 종류보다 수백 배, 수만 배의 이런 저런 이야기들이 세상에는 깔려지게 된다. 이 작품에는 다섯 사람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라디오 방송의 한 프로그램의 MC인 혜은이 있고, 그녀에게는 가수인 남자친구 민성이 있다. 그 사이에 혜은의 방송 PD가 있고, 그 세 사람 사이에 PD의 딸인 묘경이 가세한다. 그리고 남은 한사람, 아무도 모르는 한 사람, 하지만 그 모두를 알고 있는 한 사람, 진호.
사람이 사람을 알아간다는 것. 또 사람이 사람에게 집착한다는 것. 아무것도 모른 채 누군가에게 자기 자신을 내보이고 있다는 것. 무방비 상태의 나 자신을 바라보고 있는 한 사람으로 인해 자신의 정신과 자아의 세계는 으깨지고 갈려 나간다. 서로를 훔쳐보고, 응시하며 그 사람과 닮아가는, 그리고 그 사람의 깊은 그 어딘가까지 다가가려는 사람들.
한 무대안의 다섯 사람의 짧지만 긴 이야기...
작품 속에 소개되는 오페라는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Orfeo ed Euridice), 리골레토(Rigoletto), 라트라비아타(La Traviata), 토스카 (Tosca), 호프만 이야기(Les Contes d'Hoffman), 살로메(Salome) 총 여섯 개로 이 모두가 비극적 사랑의 결말을 다루고 있는데, 이는 작품의 주제와도 서로 통하게 된다. 오페라에 등장하는 각각의 주인공들의 상황은 극 중의 각각의 사람들의 상황과 연관되어 그 모습들을 표현하게 된다.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는 PD인 성보가 죽은 아내와 MC 혜은사이에서 느끼는 구조와 그 맥락을 같이하며, 딸을 지키려다 그 딸의 희생을 맞이하게 된 리골레토의 상황은 성보와 묘경, 그리고 민성의 관계를 통해 나타나지게 되고, 사랑을 얻지 못함에 분개하여 목숨을 원하게 되는 살로메의 집착은 혜은에게 집착하는 진호의 상황과 어우러져 극은 구성된다. 다섯사람의 엇갈린 실체와 허구 속에서 그 실체를 굳건히 지키고 있는 혜은과 민성, 결국 자신의 허상 속에서 좌절하는 성보, 허 상에 잠식되어버린 묘경, 그리고 실체와 허상의 맞교환을 통해 자기자신을 허상속의 실체로 규정해 버린 진호... 작품은 이제 끝이 아니다. 지금부터가 시작이다.
감시하거나 바라보거나 스토킹에 잘 어울리는 유리같은 거울이 무대에 걸려져 있고 네 귀퉁이에 각자 네명이 자리를 차지하고 자신의 차례가 오면 무대 정가운데로 나간다.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제목이 오페라를 내보내는 라디오방송과
7년만에 라디오방송을 맡게된 PD와 처음으로 방송을 맡게된 아나운서의 열정으로 10분 방송이 한시간으로 늘어나고 그 뒤를 감시하는 듯한 스토커가 보여주는 것에 공감을 표한다.
현실과 과거의 모호한 공간에서 벌어지는 이들의 모습은 서로를 바라보기보다 등뒤를 따라가면서 다른 모습을 응시하고 어긋나고 있는 현실처럼 거울에 반사 되어 숨겨지거나 가려지거나 적날하게 보여준다.
오페라의 선율이 흐르는 방송국 스튜디오.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한 남자, 그리고 그 곁에 또 다른 사랑으로 자리한 새로운 여자, 그 여자를 사랑하지만 다른 유혹에 빠지게 되는 남자, 그 남자를 유혹하려고 자신의 모습을 잃어버리는 또 다른 한 여자... 그리고.. 어디선가 지켜보고 있는 한 남자.. 이 다섯 사람의 엇갈린 만남과 모습 속에 투영된 이 사회의 모습.. 스토킹과 오페라라는 상반된 모습의 소재를 통해 바라본 현대 사회의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작가/연출의 글 – 안경모
스토킹. 당대의 폐부를 파고드는 현대인간의 모습을 직접 다루는 작품이 부족하다고 생각할 즈음, '스토킹' 이라는 사회현상은 현대를 바라볼 수 있는 잠망경 같은 것이었습니다. 스토킹은 몇몇 사이코들의 병리적 문제가 아니라, 사회가 만들어낸 소유불능과 소외의 결과물이라 생각되었습니다. 고립된 섬처럼 수많은 '나'들로 부유하며 집착하고, 폐쇄된 뷰파인더로 자신만의 허상을 실상에 대리시켜 자신을 유지해 나가는 현대 인간들, 저마다의 대상을 찾아 스토킹하며 살아 가고 있는 우리는 스토커였습니다. 바로 우리의 모습이었습니다. 방송과 오페라, 연극에서는 다소 무리스러운 들려주는 라디오 방송을 택했습니다. 대신 자유로운 시공간의 날개를 탔습니다. 라디오 방송에서 들리는 줄거리와 인물을 가진 오페라는 작품을 다소 복잡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작품에 소개되는 6개의 오페라(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리골레토, 토스카, 라트라비아타, 호프만이야기, 살로메는 일상을 반영한 픽션이 아니라, 오히려 실체가 되어 일상에 투사됩니다. 그래서, 오페라와 일상의 이중적 구조라기보다는 점차 오페라적 픽션에 잠식당하는 일상이 드러나게 했습니다. '허상이 실체를 잠식한다'는 역전이 우리의 부조리한 모습이니까요. 거울. 더불어, 실상과 허상에 대한 극적 탐구는 거울로 전면화 시켰습니다. 실체는 수많은 거울들로 겹쳐지고, 어느 순간 우리의 시선은 실체를 비추고 있는 거울에 닿게 됩니다. 실상과 허상의 경계상실, 그 아슬아슬한 줄타기 역시 우리의 모습입니다. 수많은 우리의 모습을 다루기에 제 자신이 많이 부족하다는 걸 다시 한번 깨닫게 됩니다. 작품을 수술대 위에 올려놓고 배를 갈랐지만, 그 복잡한 꿈틀거림에 넋 놓고 지켜본 적도 수차례였고, 불필요한 메스질도 여러 번 그리곤 무작정 봉합 수술부터 들어가기도 했습니다. 그 부족함을 메워가는 과정이 배우들에겐 참 힘든 과정이라는 걸 다시 한번 알게 됩니다.
'한국희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회만 '8장 7절을 거부한 화려한 여인' (2) | 2023.08.27 |
---|---|
김원 '만리향' (2) | 2023.08.26 |
김경주 '늑대는 눈알부터 자란다' (2) | 2023.08.24 |
송연수 '낙타의 꿈' (1) | 2023.08.23 |
이재현 '병사들의 합창' (1) | 2023.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