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이야기는 17년 전에 아버지가 저지른 작은 부정한 사건에서 시작된다.
이 작은 사건은 누군가에겐 평생 잊을 수 없는 질문과 억울함을 남겼지만
세상은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여전히 굳건하다.
아버지의 딸인 은지는 ‘감정표현 불능증’을 진단 받았다.
어른들은 은지를 병명으로, 죄명으로 쉽게 정의내리고 단정하지만,
은지는 세상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는 아이다.
이 이야기는 17년 전 시작된 사건이 은지라는 특이한 아이를 만나 뒤늦게 결말을 찾아가는 여정이 된다.
<네 번째 사람>은 17년 전, 불완전한 인간과 사법시스템이 저지른 실수(미필적 고의)가 불러일으키는 연쇄 파국, 그리고 그날의 흉터를 잊지 못하는 사람들(17년 전 살인사건의 진범인 아줌마, 억울하게 살인 누명을 쓰고 옥살이를 한 재필, 17년 전 살인사건의 담당 검사)의 이야기이다. 그렇게 얽힌 세 사람의 이야기에 '감정표현 불능증'을 앓고 있는 은지 (사건 담당 검사의 딸)의 질문이 얹힌다. 은지는 관객의 눈과 귀가 되어 세 사람에게 묻는다. 죄는 무엇인가? 죗값을 치른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인간에게 영혼이 있나? 영혼이 있다면, 살인자에게도 영혼은 있는 것인가? 보통 사람도 사람을 죽일 수 있을까? 법은 어떻게 인간의 죄를 심판하는가? 과연 구원은 가능한 것인가?.....
네 사람은 견고하게 지어진 마음의 감옥 안에서 자기 몫의 삶을 산다. 이보람 작가의 극본은 집요하고 깊다. 네 인물에게 각자의 당위를 부여하고, 서로에게 질문을 던지게 만든다. "그때 왜 그랬어요?"라는 물음은 은지가 아빠에게, 아줌마가 검사에게, 재필이 아줌마에게, 그리고 관객이 그들 모두와 자기 자신에게 던지는 근원적 질문이다. 도망갈 곳은 없다. 죗값을 받아야 그 죄를 마주할 수 있듯, 은지의 질문을 피하지 않아야 우리의 모습을 마주할 수 있다.
이 근원적이고 집요한 질문의 탐사는 관객들에게 사람을 함부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고 이야기한다. 하물며 사람을 죽인 살인자라 할지라도. 재필에게 아줌마는 파멸의 악마이자 구원의 천사다. 그는 자기에게 죄를 뒤집어씌운 아줌마를 죽임으로써 마음의 평화를 얻는다. 그의 억울함과 분노(검사에게 보낸 편지)는 아줌마의 죽음과 함께 끝난다. 아줌마는 자기를 죽인 재필을 용서함으로써 쇳덩이처럼 자신을 짓누르던 죄책감으로부터 벗어나고, 망가진 사법제도 시스템에 맞서 '잘못을 바로잡겠다,'던 개인적 오만 역시 자기희생을 통해 대속 (아줌마는 뒤틀린 과거로부터 새로운 관계로 나아가는 통과제의의 희생양이다)한다. 아줌마는 자기 몸뚱이를 바쳐 관계 구원의 메시아가 된다. 은지는 재필의 살인과 아줌마의 죽음 그리고 용서를 지켜보면서, 그들의 영혼을 보고 자기 영혼의 존재를 느끼게 된다. 일련의 혼돈스러운 감정의 여정을 통해 은지는 사법적 오만의 실수를 저지른 검사와 아버지와 딸로서 화해하고, 재필과 아줌마는 피해자-가해자의 관계를 벗어나 머릿속을 맴도는 음악의 멜로디로 하나가 된다.
작가의 글
착하게 말 잘 듣던 아이들을 바다로 떠나보낸 뒤, 다음 세대의 아이들에게 어른으로서 어떤 이야길 해줄 수 있는지 고민이 됐다. 이미 세상의 부정을 목도한 아이들에게 우리는 무엇을 가르칠 수 있을까, 어떤 유산을 남길 수 있을까. 한 사회가 올바른 미래로 가기 위해선 반드시 과거의 죄를 질문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생각했다. 그렇다면 아이의 미래는 어른의 과거와 맞물려 있는 게 아닐까... 이 이야기는 과거 아버지가 저지른 사소한 부정을 청소년이 된 딸이 일게 되면서 아버지의 죄와 그 죄로 이루어진 세계를 대면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아이의 성장 물로 시작한 이야기였는데, 결국 이야기의 마지막은 어른에게 항하는 질문이 되었다. 어떻게 살아왔습니까. 어떻게 살아가고 있습니까, 앞으론 어떻게 살아갈 건가요? 왜 이야기의 종착점이 이렇게 되었는지 곰곰이 생각해보았다. 그러다 문득 찾아온 생각. 아이의 시선이 어른을 자라게 하는구나. 그렇다면 우리 함께 서로를 지쳐보며 잘 크자. 뭐, 그런 이야기로 봐주시면 좋겠다.
'한국희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상 '기억의 방' (1) | 2020.11.16 |
---|---|
최진아 '아라베스크' (1) | 2020.11.16 |
김성열 '수렴청정' (1) | 2020.11.11 |
홍성원 '그러나' (1) | 2020.11.11 |
양수근 '표(表), 신하가 황제에게 올리는 글' (1) | 2020.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