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희곡

양수근 '표(表), 신하가 황제에게 올리는 글'

clint 2020. 11. 10. 16:44

 

 

1145년 고려 인종 시대를 배경으로 삼국사기가 편찬되기까지의 이야기를 사실적으로 그려낸 창작극이다. 삼국사기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기록되지 않은 부분들은 작가의 상상력으로 극의 진행과 감동이 더욱 풍성해졌다. 극의 제목인 표()는 신하가 황제에게 올리는 글이라는 뜻이다. 극의 마지막 부분에서 인종이 백성에게 표를 올린다. 황제가 신하가 돼 백성을 섬기는 모습은 진한 감동과 여운을 전해준다. 우리 역사에서 역사적 자긍심이 가장 충만한 시기를 꼽으라면 단연 고려 인종 1145년이다. 이 시기 고려는 외적으로는 금나라 송나라와 경쟁했고 내적으로는 묘청의 난을 극복해 정치적 안정기를 맞이한다. 이에 인종은 김부식에게 역사편찬의 칙서를 내린다. 외세에 의존하던 역사서를 우리 시각으로 새롭게 써내려간 대 업적은 당시 엄청난 저항과 난관에 부딪혔지만 인종과 김부식은 그 모든 어려움을 극복하고 삼국사기를 완성한다.

 

 

 

 

현존하는 최초의 역사서 삼국사기 편찬 과정 속에서 그 시대 인물들을 무대로 소환해 역사란 무엇인가, 과거의 역사에서 현재를 조망하고 또 미래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물음을 관객에게 던진다.

 

 

 

'한국희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성열 '수렴청정'  (1) 2020.11.11
홍성원 '그러나'  (2) 2020.11.11
이선경 '어쩌다보니'  (1) 2020.11.09
이선경 '나르는 원더우먼'  (1) 2020.11.09
이선경 '그사람이 있었습니다'  (1) 2020.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