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창작과 교수 루스 스타이너는 존경받는 단편소설 작가다.
루스를 숭배하던 대학원생 리사 모리슨은 6년동안 루스의 지도를
받으며 인정받는 작가로 성장한다. 단편소설집 출간 후 호평을 받은
리사는 '루스와 시인 멜모어 슈워츠의 시적인 관계'를 담은
장편소설을 발표한다.
자신의 인생이 제자의 소설 소재로 쓰이자 루스는 분노한다.
예술가가 했어야 하는 선택을 했다고 주장하는 리사를 용서할 수 없는 루스.
가까운 사제지간이었던 루스와 리사의 갈등의 골은 점점 깊어져 간다.
그건 조교 시절 리사에게 얘기해준 루스가 젊었을 때 연로 작가와의 로맨스를
제 맘대로 가져다 쓴 것이고, 리사는 자신의 창작이라 한다.
둘은 언쟁을 높이고 결국은 파국으로 끝난다.
제자는 언제나 스승에게서 뭐든 빼앗아간다.
물론 반대로 그 반대의 경우도 있지만.
스승은 결국 제자를 가르치다가 무엇인가를 빼앗긴다.
인류는 그렇게 역사를 이어왔고 발전되어 왔다.
<단편소설집>은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를 도발적으로 다시 되묻는다.
예술의 도덕적 딜레마, 선택은 개인의 몫인가?
스승의 인생을 소재로 소설을 쓰면서 둘의 관계는 금이 가는데...
창작과정에서 예술가가 도덕적 딜레마에 빠졌을 때는 어떤 선택을
해야할까? 루스와 리사는 치열하게 상대방을 설득한다.
연극은 두 사람의 첫 만남부터 그들의 관계가 파국으로 치달을 때까지를 모두 그려내고 있다. 마지막 장면에서 그들의 폭발하는 감정을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의 관계가 발전해나가는 것을 첫 만남에서부터 섬세하게 그려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서로에게 상처를 주기도,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하기도 하지만 신뢰를 기반으로 관계를 형성해간다. 그러나 루스의 사랑 이야기를 리사가 그녀의 소설에 담으면서 그들의 신뢰는 무너진다. 리사가 그녀의 장편소설에 담아낸 사랑 이야기는 루스가 자신의 삶에서 ‘가장 빛났던 순간’이라고 회상하던 순간이다. 가장 빛났던 순간을 지키고 싶은 루스와 그녀의 이야기를 가공해 소설을 쓴 리사. 자신의 경험이 입 밖으로 내뱉어지면 더 이상 자신만의 것이 아닌 것인가.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지식들을 축적하게 된다. 그 중 일부는 우리의 직접 경험으로부터 얻은 것이지만, 일부는 타인의 경험이나 전통으로부터 얻어진다. 그 중 어떤 것이 진정 우리의 지식이며 자아를 구성하는 부분인가. 사실 그것의 구분은 아주 모호하다. 그러나 분명 지식의 일부분은 타인으로부터 오며 그것은 타인에게 소중하고 민감한 기억일 수 있기에 우리는 그에 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하지만 연극이 끝나고 생각해보니 둘 사이의 갈등은 옳고 그름이 모호하며 명쾌하게 해결될 수 없는 것인 듯하다.
도널드 마귤리스 (Donald Margulies, 1954~)
예일대 출신 극작가 겸 시나리오 작가다.
'외국희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훌리오 코르타사르 '지하철의 오르페우스' (1) | 2025.03.31 |
---|---|
제인 오스틴 원작 스틸 매카이 각색 '오만과 편견' (6) | 2025.03.30 |
김윤지 재창작 '햄릿광대 난장' (7) | 2025.03.27 |
가네시타 다쓰오 '어른의 시간' (2) | 2025.03.26 |
닐 사이먼 ' 빌록시 블루스' (1)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