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막. 1905년. 런던. 크라이튼은 롬 경의 저택에서 가장 유능한 집사다.
크라이튼은 계급 의식이 높은 영국사회에서 자신의 지위를 잘 알고 있다.
백작은 모든 남자는 평등하다고 주장하며, 그것을 증명하기 위해
딸들에게 매주1회 오후 티타임 동안 하인을 손님으로 대접하라고 명령한다.
블록 부인이 도착하여 크라이튼이 그러하듯이, 그 협정에 강력히 반대한다.
그러나 상원의원인 롬은 정치적 목적으로 하인들의 표를 의식해서인지
이런 계급사회를 반대한다.
2막은 롬경의 가족들과 하인 2명이 태평양으로 배를 타고 휴가를 떠난다.
그러나 폭풍우 중에 배가 고장나 모두 배를 버릴 수밖에 없다.
크라이튼, 롬경, 그의 딸 메리, 캐서린과 아가사, 성직자 트리헌과 어니스트 울리,
하녀 튀니가 무인도에 대피한다. 귀족들은 그들의 낯선 새로운 환경에
속수무책임이다. 불을 지피고 피난처를 제공하고 식량을 찾는 것은 크라이튼의
몫이다. 버려진 선박이 나타나서 해안 암반으로 표류할 때, 크라이튼은 자신이
할 수 있는 한 모든 것을 구하기 위해 헤엄쳐 간다. 그리고 모두 합심해 그나마
많은 물품을 확보하게 된다. 하인인 크라이튼이 설쳐대는 것이 불만인 롬경은
그를 추방한다. 백작과 그의 일행은 곧 크라이튼 없이는 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데, 결국 그를 불러들인다. 자신들이 안전하게 먹고 살기 위해...
3막은 2년 후, 무인도의 질서는 완전히 향상되었다. 지금은 다정하게 "대장"로 알려진
크라이튼이 책임자인데 반해, 그의 전 상전들은 그의 하인들이다.
사실, 귀족들은 훌륭하게 숙달되었고 그들의 처지에 꽤 만족하고 있다.
이곳에 온지 2년이 되자 모두 이 생활에 적응이 되어 여자들도 사냥꾼 역할을 잘하고
대장의 지시대로 수행하면 모든 건 술술 잘 풀리니 만족도가 높아진 것이다.
그러다 보니 주민들은 대장의 결혼을 부추긴다.
결혼문제로 보면, 크라이튼이 메리를 선택할지, 아니면 '튀니'를 선택할지
모두가 기다리기 때문에 상황은 혼란스럽다. 다른 세 남자는 모두 튀니에게
홀딱 반했다. 마침내 크라이튼은 메리를 선택한다.
하지만 결혼 서약을 주고받을 때 배가 보인다.
메리는 다른 사람들에게 섬에서 얼마나 행복했는지를 상기시키면서 신호불을
붙이지 말라고 애원하지만 결국 크라이튼은 구조요청을 한다.
구조대가 도착하면서 그는 집사의 제복을 입고 비굴한 임무를 재개한다.
4막. 다시 런던으로 돌아온다. 울리는 그들의 경험에 대한 책을 썼는데,
이 책은 그를 그룹의 구세주라고 묘사하고 있다.
브록클허스트 부인은 그 작품이 거짓으로 가득 차 있다고 의심하면서,
모든 것을 개인적으로 심문할 것을 고집한다. 크라이튼은 진실을 말하지만,
모든 것을 숨기는 그런 식으로 말한다. 브로클허스트 부인이 떠난 후
크라이튼은 사표를 제출한다. 메리는 그에게 돌아와 달라고 애원하지만,
크라이튼은 그녀에게 그들의 문명화와 싸울 수 없다고 말한다.
튀니는 그와 함께 가자고 제의하고, 그가 수락한다.
이야기는 부유한 영국 저택의 집사인 크라이튼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가족과 친구들이 무인도에 난파되면서 사회 질서가 무너지고 크라이튼이 타고난
지도자로 등장한다. 생존 상황이 전개됨에 따라 크라이튼 의 지략, 지능 및 적응력은
그를 고용주 론 경을 포함하여 그룹에서 존경하고 존경받는 인물로 만드는데…
"존경스러운 크라이튼"은 J. M. Barrie가 쓴 희극으로, 1902년에 초연되어 1903년에 출판되었다. 이 연극은 계급, 사회 계층,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할 반전이라는 주제를 다룬다. 이 연극은 20세기 초 영국 사회의 엄격한 계급구분을 풍자하면서, "자연 질서"의 개념과 개인이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 처했을 때 그것이 어떻게 방해받을 수 있는지를 이야기한다. 이 연극은 사회적 역할의 본질, 권력 역학, 리더십의 내재적 자질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이 작품을 읽으면 꼭 소설을 읽는 느낌이다. 등장인물의 상황에 적당한 주석같은 지문이 미주알고주알 무척 달려있기 때문에.
작가 베리는 위트와 유머, 아이러니를 사용하여 계급 체계의 부조리함과 인위성을 강조한다. "존경스러운 크라이튼"은 영리한 대화, 코믹한 상황, 사회적 규범에 대한 생각을 자극하는 논평으로도 유명하다.
제임스 매튜 배리(James Matthew Barrie, 1860년 5월 9일 – 1937년 6월 19일)
스코틀랜드의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피터팬의 창시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나 교육을 받은 후 런던으로 이주하여 몇 편의 성공적인 소설과 희곡을 썼다. Barrie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1904년 초연된 연극인 Peter Pan 또는 The Boy Who wouldn't Grow Up다. 이 연극은 성장을 거부하고 마법의 땅 네버랜드에 사는 어린 소년 Peter Pan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요정과 해적의. Peter Pan은 수많은 영화, TV 프로그램 및 뮤지컬로 각색되었으며 역사상 가장 인기 있는 동화 중 하나다.
'외국희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셰익스피어 리어왕 김명곤 재구성 '우루왕' (3) | 2025.02.19 |
---|---|
사무엘 베케트 '크랩의 마지막 테이프' (3) | 2025.02.17 |
바츨라프 하벨 '가든파티' (3) | 2025.02.14 |
제롬 로렌스 '뭐가 뭐냐?" (1) | 2025.02.13 |
페르난도 아라발 '두 사형집행인' (3)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