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희곡

박형준 '마의 기원'

clint 2025. 1. 22. 05:58

2025 한국일보 신춘문예 희곡 당선작

 

 

 

신춘문예 희곡 심사평 - 심사위원 김재엽 교수와 정진새 연출가 겸 극작가
젊은이들의 생존에 대한 절규에도 웃음 잃지 않고 개성 빛났다

2025 한국일보 신춘문예 희곡 부문에서 총 125편의 희곡을 만날 수 있었다. 우리 앞에 놓인 희곡들은 대체로 젊은이들의 생존에 대한 절규처럼 느껴졌다. 주거 불안에 시달리고, 취약한 노동 환경에 처해있고, 과도한 관계 압박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존재들이 비명을 지르고 있었다. 희곡 속 등장인물들은 파국이 되어버린 세상을 마주하거나 돌파하지 못한 채 그 ‘다음의 파국’을 맞이하였는데, 그러한 과정에서 ‘희곡’은 예술로 오롯이 서지 못하고, 시대적 고발에만 그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그중에 작가로서의 성찰과 재주가 돋보이는 작품이 ‘이기적 알고리즘’ ‘은주네 세정이’ ‘그저 그런 슬럼’ ‘아버지가 죽지 않는다’ ‘마의 기원’ 이렇게 다섯 편이었다.
작품성과 경향성을 살피는 가운데 심사위원들은 새삼 ‘무대 글쓰기’의 기본인 시간과 공간, 그리고 인간을 되돌아보게 되었다. (비록 가상이겠지만) 주거와 생존이 무너진 ‘공간’ 위에서 ‘인물’은 희미해지고 있고, 그리하여 시대상과 세계관만이 작품에 남아있는 것은 아닐까. 이런 고민이 읽는 내내 지속되었다. 동시대 희곡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과 회의감이 드는 시기임에는 분명하다. 
이러한 시대적 과제를 슬기롭게 헤쳐나간 작품으로 ‘이기적 알고리즘’과 ‘마의 기원’을 꼽을 수 있겠다. 이 작품들은 각각 ‘공상과학(SF)’과 ‘무협’이라는 장르적 특질을 활용하여, 현실을 벗어나는 동시에 중첩시키는 고도의 극작술을 구사하고 있다. 비극적인 상황에서도 ‘웃음’을 잃지 않으려는 작가의 노력도 인상적이다. 두 작품 모두 무대 위에서 그 매력과 개성이 더욱 빛날 것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다만 ‘이기적 알고리즘’의 경우에는 결말 부분이 다소 아쉬웠고, 고심 끝에 ‘마의 기원’을 선정하였다. 지금, 여기 우리가 직면한 현실과 정치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 문제의식과 전망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 그 이유다. 최종까지 논의된 다섯 작가와 언급된 작품 모두에 격려와 응원을 보낸다. 

 

심사위원 김재엽(왼쪽) 정진새 (오른쪽)


[당선소감] 박형준
"작고 초라한 능력 매일 갈고닦아서 만 명의 내면에 닿겠다" 

‘닿지 않는다’는 느낌은 견디기 힘든 것이었다. 끝내 문턱을 넘을 수 없을 것 같다는 예감은 참혹했다. 하늘에서 칼이 내린다고 감각할 때마다 이야기를 펼쳤다. 나조차 나를 의심했으나 이야기는 언제나 나를 달래주었다. 진지하고 쓸모없고 아름다운 이야기. 심지어 때론 아름답지도 않은 그것은 그러나 한결같이 내게 말했다. 다시 힘을 내라. 나는 의자에 앉았다. 썼다. 지웠고. 다시 썼다. 내 안에 있는 이야기. 언젠가 그것이 다른 누군가의 심장을 뒤흔들 것이라고 믿으며. 무협지의 인물과 달리 내겐 변변찮은 무공 하나 검 한 자루 없다. 그런 상태로 첫걸음을 뗀다. 두렵다. 하지만 정진하겠다. 작고 초라한 능력 매일 갈고닦아서 마침내 만 명의 사람들의 내면에 가닿는 이야기를 만들겠다. 
당선 소식을 듣고 눈물 흘려준 하림에게 감사하다. 부모님과 동생, 가족들에게 고마움을 보낸다. 희곡의 매력을 가르쳐주신 조광화 선생님, 정범철 선생님, 멀리서 응원해주신 배경진 선생님께 깊은 사의를 드린다. 고건우와 이경헌 두 벗들에게 존경을 전한다. 그리고 딸 온이에게도. 사랑하는 마음을 이곳에 적어둔다. 

 


​△1993년 충남 천안시 출생
△서울예술대 문예창작전공 졸

'한국희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인호 '어머니가 가르쳐준 노래'  (3) 2025.01.22
고찬하 '돼지꿈'  (1) 2025.01.22
송희지 '탐조기(探鳥記)  (1) 2025.01.22
에인 랜드 작 '1월 16일 밤에 생긴 일'  (3) 2025.01.21
윤주호 '없는 잘못'  (2) 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