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품의 줄거리 소개에 앞서 Farce 즉 소극이라는 장르에 대한 언급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전통적으로 소극이란 다양한 유머와 복잡한 문제들 그리고 일어날 법 하지 않은 이야기들로 구성된 연극을 지칭한다. 소극이란 단어의 어원은 라틴어 farcire (채워 넣다)로 알려져 있으며 초기 그리스 로마 연극에서부터 사용된 용어이다. 한 편, Bedroom Farce는 다양한 코미디와 잘못된 존재, 의상의 분실, 배가된 풍자와 해학 등의 요소를 포함하는 다른 장르이다.
알란 애크번의 ‘Bedroom Farce’는 사전적 의미의 소극(farce)에 완벽히 부합하지는 않는다. 부분적으로 소극의 요소들이 보이기는 하지만 (케이트가 옷을 잃어버리는 것 닉이 화장대를 만드는 것 등) 타이밍이 절묘하게 들어맞아 발생하는 웃지못할 사건들이 공연을 이끌어간다. 제목으로 선택된 ‘소극(farce)’라는 단어는 이 공연의 장르보다는 상징에 가깝다. 배우들이 서로를 찾으러 무대를 휘젓고 다니지만 아무도 소란스럽게 움직이지는 않는다. 하지만 플롯 자체가 연극의 긴장감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조명과 장면의 변화는 플롯을 흥미진진하게 만든다. Bedroom Farce에는 알란의 작품 최초로 교차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침실에서 침실로 점프하는 액션들은 일반적으로 대사가 만들어 내는 리듬보다 더 다이내믹한 리듬을 만들어 낸다.

Bedroom Farce에는 세 개의 침실과 네 쌍의 부부가 등장하며 알란 애크번 본인이 언급했듯이 ‘섹스를 제외하고 침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일들’이 벌어진다. 나이가 많은 경험 있는 부부와 결혼생활의 짜증으로 폭발 직전에 놓여있는 어린 세 커플이 서로 얽히며 만들어내는 모습들은 우리 자신의 일상과 비슷하다. 사건 중심에 있는 트레버는 자기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매력이 없는 사람인데 말콤과 케이트의 파티에 가서 전 여자 친구 젠을 만나게 된다. 그의 신경질적이고 예민한 부인 수잔나는 그들의 문제를 다른 부부들 그리고 시부모에게 까지 확대시킨다. 문제의 커플은 결국 케이트와 말콤의 파티를 싸움판으로 만들어버리고 다른 부부들까지 혼란스러운 하룻밤을 보내게 한다. 세 침실을 넘나들며 마주치는 네 쌍의 부부들은 각각 자신들의 성적인 만족과 불만족에 대한 문제를 마주하게 된다. 어느 부부는 침대에서 누가 더 서로에게 집중하냐를 두고 싸운다. 나이 많은 부부는 한창 때 그랬던 것처럼 침대에서 토스트를 먹으며 달콤한 시간을 보낸다. 아내가 전 남자친구를 만났다는 사실을 안 한 남편은 끊임없이 자신과 그 남자를 비교한다. ‘내가 걔 보다 잘하지?’
작품은 성격 차이, 이해하지 않는 자세, 편협한 사고 그리고 오해로 서로를 상처주면서도 상황을 잘 풀어나가려 노력하는 인물들을 통해 알란 애크번의 세상에 대한 이해를 보여주고 있다. “평범한 그리고 전쟁터 같은 침실의 모습을 정확히 그려냈다.”는 평을 받았고 1975년 초연 이후 35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세계무대와 텔레비전에 소개되었으며 영국 국립극장(National Theatre)에서 최장기간 공연된 연극 레퍼토리를 기록한 작품이다.



Alan Ayckbourn (1939.04.12~)
알란 애크번은 올리비에, 토니 그리고 몰리에르 상을 휩쓸며 활발히 활동하는 영국의 극작가이자 연출가이다. 그는 총 76편의 작품을 집필했고 그 중 반 이상이 런던 웨스트엔드나 뉴욕 브로드웨이에서 공연되었다. 단편 작가로 활동했던 어머니와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리니스트였던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알란은 10세 때 처음으로 극작을 시작했다. 17세 때 학교를 졸업하자마자 연극 무대에 뛰어들었는데 투어 공연을 하거나 극장에서 일을 하면서 연기를 하거나 극작을 했다.
1967년 그의 첫 인기 작품인 Relatively Speaking 이 Duke of York’s Theatre에서 성공적으로 공연된 후 40편이 넘는 그의 작품이 웨스트엔드나 국립극장에서 또는 영국 최고의 극단인 RSC(Royal Shakespeare Company)에 의해 공연되었다.
알란 애크번은 웨스트엔드에서 연출가로 활동함과 동시에 영국 국립극장에서 그의 컴퍼니를 운영중이며 1972년에서 2009년까지는 Scarborough의 Stephen joseph theatre에서 예술 감독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대표작으로는 이번 공연인 Bedroom Farce(1975)를 포함하여 Absurd Person Singular(1975), The Norman Conquests trilogy(1973), Woman in Mind(1985), A Small Family Business(1987)등이 있으며 현재까지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 그의 작품은 런던 이브닝 스탠다드 상을 포함해 수많은 상을 받았고 전 세계적으로 35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텔레비전이나 무대에서 상연되었다.

'외국희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에르 코르네유 '르 시드' (1) | 2015.10.31 |
---|---|
나가쓰카 게이시 '라스트 쇼' (1) | 2015.10.31 |
레오니드 안드레예프 '뺨 맞는 그 자식' (1) | 2015.10.31 |
피에르 코르네유 '로도귄' (1) | 2015.10.31 |
미하일 불가코프 '백위군' (1) | 2015.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