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희곡

오세혁 '아빠들의 소꿉놀이'

clint 2015. 11. 24. 10:12

 

 

 

아빠들이 소꿉놀이를 한다? 대체 무슨 놀이이기에 다 큰 어른들에게 어린 아이들에게나 쓰는 ‘소꿉놀이’란 표현을 붙였을까. 극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40대 한창 나이에 회사에서 해고 당해 실직한 남자들이다. 이들은 해고당한 사실을 아내와 가족에게 털어놓을 수가 없다. 그래서 직장을 잃은 후에도 평상시처럼 아침을 차려먹고 양복에 넥타이를 메고 출근을 한다. 출근을 한다고 집을 나섰지만 이들이 갈 곳은 회사가 아니라 조그만 놀이터다. 아이들이 놀고 있는 이곳으로 출근하는 것이다. 때론 회사에 체육대회가 있다면서 체육복을 입고 집을 나서기도 한다. 그럴 때면 놀이터에서 마냥 아이들처럼 뒹굴며 놀기도 한다. 이 모습, 웃음을 자아낸다. 그러나 마냥 우습지만은 않다. 씁쓸한 웃음이다. 정리해고가 만연한 이 시대의 비극이 감지되는 순간이기도 하다.

 

 

 

 

두 자루의 단도를 슬쩍 내밀었더니 느닷없이 강호에 나오라고 합니다. 슬쩍 엿본 강호에는 장검을 든 선배 고수들이 화려한 초식으로 인물과 갈등과 사건을 수놓고 있습니다. 이미 일가를 이루신 선생님 고수들은 칼자국이 가득한 상처투성이의 마차를 타고 저 멀리 지평선을 향해 힘차게 달려가고 계시는군요. 사방에서 관객들이 몰려옵니다. 저는 이제 겨우 단도 두 자루만 가지고 몰려오는 관객들을 향해 새로운 인물과 갈등과 사건을 휘둘러야 합니다. 짧은 단도 두 자루로, 저는 어떻게 싸워나가야 할까요? 방법이 없습니다. 칼이 짧아 닿지 않으면 남보다 한 발짝 더 부지런히 나아가 휘두르면 됩니다. 때로는 선배 고수들의 멋진 장검을 슬쩍 빌려서 휘둘러보기도 할 겁니다. 저의 단도와 선배 고수들의 장검을 응용하면서 열심히 휘두르다 보면, 언젠가는 선생님 고수들이 타고 가시는 마차에서 채찍을 휘두를 수도 있지 않을까요. 그 마차를 타고 열심히 달리다 보면 언젠가는 찬란하고 화려한 연극 개벽의 세상을 맛볼 수 있겠지요. 심사위원 선생님. 언젠가는 멋진 장검으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아버지와 어머니. 아들에게 입과 손과 발을 재산으로 물려주셔서 고맙습니다. 그리고 사랑합니다. 라푸푸 서원 여러분. 단도를 꺼내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걸판 여러분. 우리가 마차를 만듭시다. 걸판 대표 태현이형. 마차의 탑승 인원은 넉넉하게 만듭시다. 최현미양. 퇴고를 도와줘서 고맙네. 다음엔 자네가 칼을 꺼낼 차례 일세. 오태영 선생님, 선욱현 선생님, 가끔 저를 마차에 태워서 지평선을 꿈꾸게 해주십시오. 영구 형님. 정신을 잃을 때마다 부추를 던져주세요. 김인경 선생님. 애초에 이 칼은 선생님의 수업에서 싹을 틔웠습니다. 고맙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미현님. 싸우다 지칠 때마다 맑고 시원한 우물물을 퍼주어 정말 고맙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연극의 대사로 마무리 를 하겠습니다.

연극 만세!

 

 

 

 

 심사평

희곡 부문 당선작은 실직의 일상화와 동시대 아버지들의 비애감을 위트있게 다룬 오세혁씨의 ‘아빠들의 소꿉놀이’다. 단아한 언어 구사와 안정된 극작술이 돋보이는 이 작품은 이미 일상화하고 내면화한 서민들의 삶의 피로를 적절히 반영하는 양식을 보여준다. 이 작품의 가장 큰 장점은 희극성과 비극성을 동시에 배가시키는 언어와 구조상의 리듬감이다. 암울한 현실을 가공, 희극적 놀이로 변형시킴으로써 씁쓸한 웃음을 자아내게 하는 작가의 솜씨는 꽉찬 균형감을 보여준다. 심사 과정에서는 이런 안정된 글쓰기가 오히려 단점으로 지적되기도 했다. 새로운 극작술로 나아가기보다는 기성작가의 작풍으로 회귀하는 경향이 엿보인 까닭이다. 우리는 신춘문예가 새로운 형식의 희곡이 탄생하는 장이 되기를 원한다. 그런 의미에서 안정된 글쓰기를 지지할 것인가, 아니면 거칠더라도 차세대 연극으로 발전할 맹아를 지닌 작품을 발굴 할 것인가가 끝까지 논의되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대상작을 찾기 힘들었고 결국 일정 수준의 연극적 글쓰기를 보여준 ‘아빠의 소꿉놀이’를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총 133편이 응모한 올해 작품들에는 사회악과 폭력에 대한 접근이 많았는데 영화 등 대중매체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한 작품이 대부분이었다. 가정 내부의 폭력과 가해 관계, 성적인 폭력 등도 주 소재였으나 자신의 독창적인 글쓰기로 발전한 경우는 드물었다. 실직과 구직의 문제는 여전히 응모작의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특기할 만한 것은 경색된 남북 관계의 상황을 반영하는 작품이 많아진 점이다. 최종 논의에 함께 올랐던 작품은 이재상씨의 ‘ 노르웨이의 도스또예프스끼’와 김정래씨의 ‘회’ 등이다. ‘노르웨이의 도스또예프스끼’는 면접이라는 소재로 자본주의 시스템 속의 개인이라는 문제를 다루었는데 참신한 언어유희가 깊은 사유로 연결되지 못했다. ‘회’는 동서양을 아울러 이루어져온 여성에 대한 착취와 폭력의 역사를 압축한 시도는 신선했으나 구조상의 난삽함과 정련되지 않은 언어가 아쉬웠다.

- 희곡 부문 심사위원 장성희·노이정

'한국희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슬기 '사랑이라고 부르는 것'  (1) 2015.11.24
김성배 '확률'  (1) 2015.11.24
방동원 '목소리'  (1) 2015.11.24
배진아 'One More Time'  (1) 2015.11.24
오세혁 '크리스마스에 삼십만 원을 만날 확률'  (1) 2015.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