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들의 끊임없는 싸움에 지친 위대한 영(靈)은 인디언의 모든 종족을 불러 놓고 비옥한 땅과 풍요한 강과 숲을 주었건만 서로 싸움을 그치지 않는 이들의 어리석음을 비난한다. 예언자를 보내주겠다는 약속과 함께 예언자의 말을 듣지 않으면 망한다고 경고한다.
어느 날 저녁 만월에서 지구로 내려온 아름다운 노코미스는 딸 웨노나를 낳는다. 그 딸은 노코미스가 우려한 대로 서쪽 바람 머드제키위스와 사랑에 빠지고, 둘 사이에 아들 하야와사를 낳는다. 신실치 못한 머드제키위스에게 버림받은 웨노나는 그를 그리워하며 죽는다. 할머니 노코미스의 초막에서 하야와사는 모든 면에 뛰어난 건장한 청년으로 자란다. 아버지의 배신에 대한 얘기를 듣고 하야와사는 복수하러 나선다. 아버지와 아들은 서쪽바람의 땅에서 사흘간 싸우고, 결국 머드제키위스는 아들에게 인간이 아닌 아버지를 죽일 수 없다고 말하면서, 아들의 용기를 흡족해하고 약속된 예인자로 그를 그의 백성에게 돌려보낸다. 집으로 돌아오는 긴 여행길에 하이와사는 다코타 땅에서 한 노인에게 화살촉을 산다. 그곳에서 그는 노인의 아름다운 딸 미네하하를 보게 된다. 그의 백성에게 돌아온 하이와사는 숲 속에 초막을 짓고 종족들의 평화를 위해 급식한다. 급식 나흘째 그는 초록빛 노랑 옷을 걸치고 초록 것을 단 청년을 본다. 그 청년은 하이와시에게 기도가 응답되었다고 말한다. 하이와사는 딱따구리의 도움으로 어려운 전투를 이긴다. 그가 노코미스에게 미네하하와 결혼하겠다고 하자 노코미스는 같은 종족의 여자와 결혼할 것을 종용하나 따르지 않는다. 그는 할머니에게 미네하하와 결혼하면 두 종족이 합쳐질 것임을 확신시킨다. 하야와사는 구혼하기 위해 다코타로 떠난다. 하이와사의 백성은 평화 속에 번성하고 옥수수수확을 크게 올린다. 종족의 역사보존을 위해서 그는 역사를 설명해 주는 그림을 만든다.
어느 날 하야와사가 노코미스의 오두막 옆에 서있을 때 세 명의 백인이 다가온다. 그 중 한 명은 신부다. 하야와사는 그들을 반기고 신부가 들려주는 예수 그리스도 구세주의 이야기를 그의 종족들이 듣는다. 그 날 밤 하야와사는 노코미스에게 이제 약속을 지키고 떠날 때가 되었다고 말하고 저 세상 땅으로 간다.
하버드 대학의 현대 언어 교수였으며 시인이었던 롱펠로우의 인기는 대단했다. 미국인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은 그는 엄청난 인기상승으로 교수직을 그만 두고 글쓰기에 전념했다. 1877년에 맞이한 그의 70번째 생일은 국가공휴일로 하여 대대적인 축하행사를 치를 만큼, 보기 드물게 생전에 이름을 날린 시인이다. 유럽을 널리 여행한 그는 그곳에서도 인기가 대단하여, 1884년 영국인이 아닌 작가로는 처음으로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시인 코너에 흉상이 세워진 유일한 미국 시인이다. 그의 사후 그에 대한 미국학계의 냉정한 평가로 인기는 내려갔지만, 2007년 3월에는 롱펠로우 기념우표가 발행되기도 하였다. 롱펠로우의 야심은 미국적인 주제와 전설을 유럽전통문화의 형식을 빌려 서사시로 창조하는 것이었다. 그리스의 호미(기원전 10세기경)와 로마의 버질(70-19 B.C.)의 시를 모델로 하여 쓴 작품이 '에반젤린’이다. 롱펠로는 독자들에게 유럽 문화와 미국의 민담 문화를 알리는데 노력하였다.
북미 인디언의 민담을 근거로 쓴 『하야와사의 노래』는 강, 숲, 호수를 깨끗이 하고 여러 종족들을 평화롭게 하나로 통일하기 위해서 보내진 전쟁영웅에 관한 전설과 인디언의 다른 전통적 이야기들을 혼합하고, 거기에 예수 이야기까지 접목시키고 있다. 딱따구리가 빨간 깃털을 갖게 된 민담, 그림책 소개, 인간에게 내린 옥수수 선물, 평화피리의 기원 등을 담고 있다. 이 설화 시는 어린이 시로 알려져 있지만, 시에 담긴 원주민 영웅 이야기의 서사적 요소들은 아동문학 범주로만 분류할 수는 없다.
'외국희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텍쥐페리 김태용 각색 '어린 왕자' (1) | 2023.07.05 |
---|---|
왕팅팅, 스류 공동 작 '재 봉 고 할머니 편' (1) | 2023.07.05 |
한스 귄터 미헬젠 '헬름' (1) | 2023.07.03 |
아고타 크리스토프 '길' (1) | 2023.07.01 |
필 영 '크리스탈 클리어' (1) | 2023.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