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장1 서너 명씩 짝을 지어 춤을 추거나 이야기를 하면서
관객들이 스스럼없이 놀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난장2 판이 고조되면 배우들이 병신춤을 춘다.
난장3 본격적인 난장으로 돌입한다. 교환창의 형식을 띤 전승민요를 부른다.
연희 첫째 마당: 녹두풀이 일제 치하에 살았던 농민들의 염원을 압축해서 보여준다.
둘째 마당: 관객들과 함께 <아리랑>을 부르는 가운데 길용과 분이가 이별을 나눈다.
셋째 마당: 양반마당 지주, 점잖은 사람, 사음 등이 농민들을 수탈한다.
넷째 마당: 부촌(富村) “농자천하지대본”이란 글을 쓴 깃발로 춤을 추고 나면,
교장이 월사금을 못 냈다고 학교에서 쫓아내고 도에서 온 사람들이
쌓아놓은 볏눌을 보고 부촌이라 부르는 등 농민들을 수탈한다.
이 작품은 1930년대 식민지 시대의 농촌문제를 다루고 있는 작품이다. 연우무대 공동구성으로 1982년 공연되었다. 채만식의 소설과 박승희의 단막에서 소재를 따서 이 시대의 대동놀음적 판놀이로 구성한 독특한 양식의 실험적인 마당극이다. 앞놀이와 뒤풀이의 판굿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연희마당들이 동학가사, 파랑새민요, 박승희의 신파 아리랑고개, 채만식의 대화소설 등 이미 식민지 시대에 발표되거나 불려졌던 과거의 작품들로 채워져 있다. 소재뿐만 아니라 형식적 측면에서도 역사극적 요소를 다분히 지니고 있다. 이 작품은 서울영화집단에 의해 <판놀이 아리랑>으로 영화화되기도 하였다.
근대사를 다룬 개개의 작품이 그렇듯이 관객은 이 작품을 보면서 1930년대 한국의 농촌을 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 우리 사회의 깊숙한 본질과 만나게 된다. 그것은 물론 이 작품이 과거의 역사적 소재에, 어울리지도 않는 오늘날의 의상을 섣불리 덧입히거나 하지 않고 당대의 상황을 심도 있게 다각도로 구성해내어 주제적으로는 물론이거니와 정서적으로도 수준 있는 호소력을 얻어냈기 때문이기도 하다. 맨 앞의 앞놀이 ‘판굿’은 구조적인 현실 속에 밀폐되어 있는 시공을 깨뜨리고 새로운 시공을 열어가는, 이를 테면 판을 약속하는 부분으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 첫째 마당의 ‘녹두풀이’는 농민의 구체적 삶의 모습들을 통해서 앞으로 이 작품이 엮어낼 일련의 지향성, 즉 세계관의 지평구실을 하는 셈이 된다. 둘째 마당의 ‘아리랑고개’에서는 1930년대 일제의 고리(高利)를 통한 토지수탈로 인해 고향을 떠나게 되는 이농민의 농도 짙은 한을 신파양식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어서 셋째 마당의 ‘조고마한 기업가’는 1930년대 농촌의 구조적인 모순을 탈놀이 형식의 풍자기법을 통해 표출하고 있다. 신양반의 왜곡된 모습, 소작인과 지주 간의 문제 등이 다소 희화화되어 보여지고 있는데, 구조적으로 볼 때 판의 리듬에 있어 녹두풀이의 염원이 신파에서 한으로 제시되었다가 곧바로 분노로 표출되는 것이 아니라 풍자로 한번 출렁이고 곧이어 진언을 드러내는 리듬 있는 흐름을 타는 것이다. 넷째 마당의 ‘부촌’ 장면에 이르러 비로소 농민의 분노가 소작쟁의를 통해서 드러난다. 뒤풀이는 놀이적 세계의 끝막음이자 생활세계로의 접점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으로 볼 때 이 작품의 구조적 장점은 ‘역동적인 구성력’을 무난히 확보한 점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구성의 소재들이 모두 이미 과거에 쓰여진 작품들인 데다가 크게 달리 개작된 부분도 없고, 또한 각 마당들이 모두가 다 각기 다른 등장인물들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표현기법의 문제도 각기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들은 무난한 구성력이야말로 바로 이 작품의 시작이자 끝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희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복기 '우체부가 된 천사' (1) | 2025.01.08 |
---|---|
문진영 '자목련 필 무렵' (2) | 2025.01.07 |
최치언 '다른 여름' (1) | 2025.01.06 |
최원석 '불멸의 여자' (1) | 2025.01.05 |
문진영 '마법의 샘' (3) | 202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