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희곡

쳔신이, 류윈청 공동작 '휘주여인'

clint 2021. 4. 14. 20:29

 

 

휘주여인20세기 말 황매희를 대표하는 배우 한자이펀이 휘주의 전통적인 마을 풍경을 담은 잉텐치의 시띠 마을 시리즈판화를 보고 영감을 받아, 그에게 공동 기획을 제안한 데서 시작되었다. 그들은 미술과 연극을 연결시키고, 휘주 문화를 배경으로 휘주여인의 삶을 담자는 기획 의도에 따라 여성 연출가 차오치징을 영입하고, 다시 휘주출신 여성연출가이자 극작가인 쳔신이를 청하였다. 천신이가 자신의 고모의 삶을 모델로 대본을 썼고, 발의자인 한자이펀이 주인공을 맡았다. 이 여성 연극인들을 중심으로 인문적 사유와 지역 서정이 담긴 황매희 휘주여인이 탄생하였다.

 

 

이 작품은 4막 구성으로, 각 막마다 잉티엔치의 판화가 확대되어 배경을 이루고,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휘주 마을을 상징하는 어둡고 무거운 흑백의 배경 속에 여인의 일생이 전개된다. 1막에서는 여인이 자신이 몽매 바라던 선비에게 시집가는 날, 선비가 입신양명을 위해 떠났다는 가족들의 말에 기다리겠노라 대답한다. 그녀는 이 지울 수 없는 아름다운 인상과 남편이 남겨놓은 머리채에 기대어 십 년을 기다린다. 2막은 십 년이나 소식이 없는 아들 때문에 며느리에 대한 안쓰러움으로, 시부모가 며느리를 시집보내겠다고 나선다. 여인은 그럼 딸이 되겠다고 한다. 마침 영창현감이 되었다는 아들의 전보가 당도하여 모두에게 희망을 더해주고, 여인은 다시 긴 기다림을 택한다. 그러나 혼인과 득남의 소식이 전해오자, 마을의 늙은 수재는 이를 여인에게 알리지 말라 한다. 3막에서는 시부모님도 돌아가시고 남편도 이미 타향에서 가정을 이루고 있음을 알게 된 여인이 막막한 상황에서 봄을 맞아 끓어오르는 욕구를 억누르며 괴로워하다가, 자연으로부터 존재의 이치를 터득하고 삶의 의지를 되찾게 된다. 마침 시동생으로부터 건네받은 양자를 안고 새로운 삶의 희망을 갖게 된다. 4막에서는 드디어 남편이 돌아온다. 여인은 15살이 된 아들을 학당으로 보내며, 자신도 바깥세상에 나가 보고 싶다는 바람을 기탁한다. 높고 육중한 휘주 고건축의 계단에서 마주친 남편이 그녀가 누구인지 묻자, 여인은 아이 고모지요.”라고 대답하며, 긴 층계를 내려온다. 35년간 기다림으로 일관된 한 여인의 삶을 어떤 외적인 갈등도 없이, 그저 내면의 갈등과 평정의 반복, 그리고 날라리꾼을 포함한 주변 사람들의 고요한 관심으로 엮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