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역행할 수 없다는 것은 인간이 더없이 무력한 존재라는 사실을 일깨우는 요소이다.
그러나 기욤 뮈소는 이 소설에서 시간의 장벽을 통과하는 인간을 그려보인다.
만약 '과거로 돌아갈 수 있다면'이라는 상상을 해본 사람이라면 '시간여행'을 실제로 경험하는
주인공의 일거수일투족에서 좀처럼 시선을 뗄 수 없을 것이다.
기욤 뮈소의 소설이 독자들의 시선을 끌어들이는 비결이라면 늘 이렇듯 모두가 호기심을
느낄 수 있는 요소를 통해 박진감 넘치는 스토리를 이끌어간다는 점일 것이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엘리엇은 명망 있는 외과의사로 성공적인 삶을 열어왔지만
한 가지 떨쳐버릴 수 없는 회한이 있다.
그것은 바로 사랑하는 연인을 사고로부터 구해내지 못한 것이다.
캄보디아에서 만난 신비의 노인으로부터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열 개의 알약을 얻게 된
그는 30년 전으로 돌아갈 수 있는 기회를 부여잡는다. 그는 우여곡절 끝에 연인을 살려내지만
그의 과거사에서 한 가지 사실이 뒤바뀌게 되면서 나비효과처럼 그의 삶 전체를 뒤죽박죽이 된
혼란 속으로 밀어넣는다. 과거로 돌아간다면 가장 바로 잡고 싶었던 실수를 수정한 결과
다시 연쇄적으로 또 다른 문제가 무더기로 양산된 것이다.
기욤 뮈소는 결국 인간은 운명적 존재라는 사실을 부각시킨다.
다시 한 번 기회를 부여해도 인간의 삶이란 도무지 완벽해질 수 없다는 것이다.
인생이 뒤바뀐 엘리엇은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얽혀버린 실타래를 풀어나가려 애쓴다.
그러나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기회가 20분씩 열 번밖에 주어지지 않은 그가 모든 문제를
완벽하게 극복해낼 수는 없는 것이다.
이 소설의 배경이 되고 있는 샌프란시스코는 6,70년대 미국 비주류 문화,
히피 문화의 본산지이기도 하다.
현재와 과거, 현실과 초현실이 교차하는 곳으로 샌프란시스코만한 장소는 없어 보인다.
기욤 뮈소는 이 소설을 통해 과거와 미래에 발목 잡힌 우리들에게 현재를 살라 충고한다.
인간이면 누구나 평생 회한으로 남을 수 있는 실수를 범하지 않으려 애쓴다.
그러나 인간의 삶에는 의도하지 않은 실수와 불운이 함께 한다.
그러나 정해진 운명을 벗어날 수는 없지만 개선시킬 여지는 있다.
이 소설의 주인공 엘리엇이 혼신의 힘을 다해 운명을 바꿔보려 시도하다가
결국 깨닫게 되는 것은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라는 사실이다.
기욤 뮈소는 이 소설에서 인간이 불완전한 존재라는 불변의 진리를 겸허하게 받아들이는
것이야말로 삶을 진정으로 소중하게 여기는 바탕이라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좋아하는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르난도 트리아스 데 베스 '시간을 파는 남자' (0) | 2023.01.15 |
---|---|
김호연 '불편한 편의점' (1) | 2023.01.14 |
안나 가발다 '나는 그녀를 사랑했네' (1) | 2023.01.12 |
정명섭 '장영실' (1) | 2023.01.11 |
테드 창 '바빌론의 탑' (1) | 2023.01.10 |